토사자[새삼]의 효능 복용법 백하수오의 효능 복용법
토사자 판매중입니다.
토사자[새삼]의 효능 복용법 백하수오의 효능 복용법
자연산 토사자
토사자는 부러진 토끼의 뼈를 다시 붙게 만드는데 큰 효험이 있다 하여 토사자라고 보른다
정력증강과 요통등에도 쓰인다
자연산 토사자의 열매를 채취하려면 많은 공을 들여야 한다.
겨울에 건조된 토사자줄기를 채취하여 그 열매를 빼내야 하는 수고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연산 백하수오 약용입니다.
백하수오 채취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 지고 있으며 귀해지고 있습니다.
자연산 토사자 소량 판매 합니다. 양이 얼마 되지 않습니다. 토사자가 필요 하신분들은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공일육 삼육사 삼팔삼육
토사자 입니다,,
뿌리도 잎도 없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꽃과 열매를 맺는 특성이 있다.
전체가 황색의 굵은 철사 모양으로 목본(木本)식물에 기생하여 번식을 하는데 싹이 나서 기생식물에 이르면 뿌리는 마르고 새로 생긴 흡반(吸盤)으로 기생식물의 영양을 흡수해서 성장한다. 8,9월경에 줄기 위에 짧은 이삭으로 백색의 잔꽃이 모여서 핀다. 무리지어 번식하는 모양은 마치 풀이나 나무 위에 황금그물을 덮어씌운 것 같다.
새삼의 씨를 토사자라 하고 한방에서는 자양, 강정, 강장제로 음위, 유정, 몽설, 요통에 처방 배합되고 당뇨증세에도 효과를 본다.
꽃이 핀 전초를 걷어 마린 것을 토사라 하며 청열, 양혈(凉血), 해독제로서 토혈, 코피, 하혈, 황달에 쓴다.
동의보감에는 토사자는 정력을 증강 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며, 요통과 무릎이 시린 증상에 효과가 좋고 당뇨병에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효과를 본다고 말하고 있다
이식물의 뿌리가 없다?.....
모든 식물이 뿌리가 있는데 이 독특한 식물은 아예 뿌리가 없다. 그러면 식물이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수분은 어떻게 흡수할까?? 그러나 기가 막힌 방법으로 수분을 보충하고 인간에게 아주 유용한 한약재로 쓰이기까지 한다. 이 식물의 정체는...
1.이름: 새삼 2.별명: 토사자(兎絲子),무근초(無根草.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등
서식장소 및 자생지 모습 :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서식하며 다른 식물에 기생 하여 살아가는 한해살이풀로서 엽록소가 없으며 잎은 퇴화하여 비늘 조각 모양이다. 잎이 퇴화된 것은 아마도 다른식물의 몸체에 달라 붙어서 살기에는 광합성을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단지 다른 식물의 체액을 쭉쭉 빨아먹으면 그만이니까.....
x-text/html; charset=iso-8859-1" hidden=true src="http://www.shumtoh.org/stream/tnlaxj_03/0661/Freddie Hubbard - 04 - Yesterday's Dreams.wma" autostart="true" x-x-allowscriptaccess="never" AutoStart="true" loop="true">
이 식물은 처음에는 씨앗이 발아하여 자라다가 숙주를 발견하면 달라붙어 뿌리를 떨구어 버리고 숙주식물의 체내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며 자란다. 옛날 어느 마을에 토끼를 매우 좋아하는 부자 할아버지가 있었다.그는 온갖 종류의 토끼를 키우면서 토끼를 돌보는 하인들을 엄하게 다루었다. 어느 날은 하인이 실수로 몽둥이를 토끼 우리에 떨어뜨려 토끼 한 마리가 다쳤다. 그는 들킬 것을 걱정하여 다친 토끼를 콩밭에 숨겼다. 그러나 주인은 3일 뒤에 토끼 한 마리가 없어진 것을 알아냈다. 하인은 어쩔 수 없이 콩밭에 가서 토끼를 데려왔다. 그런데 토끼는 다친 데가 다 나았는지 더 팔팔해졌다. 하인은 이상히 여겨 일부러 토끼 한 마리를 몽둥이로 허리를 때려 뼈를 부러뜨린 뒤에 다시 콩밭에 놓아 두었다. 사흘 뒤에 가보니,역시 토끼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건강하게 뛰어다니고 있었다. 하인은 집에 가서 몇 년 전에 주인한테 몹시 맞은 뒤로 허리를 못 쓰고 누워 있는 아버지한테 그 이야기를 했다. 아버지는 “토끼가 골절을 고치는 약초를 뜯어먹은 것이 틀림없다.”면서 토끼가 무슨 풀을 뜯어먹는지 자세히 알아보라고 했다. 하인은 다시 토끼를 몽둥이로 때려 허리를 다치게 한 뒤에 콩밭에 갖다 놓고는 숨어서 지켜 보았다. 토끼는 처음에는 잘 움직이지도 못하다가 차츰 몸을 움직여 콩밭에 난 잡초를 뜯어먹기 시작했다. 3∼4일 뒤에 토끼는 건강하게 회복이 되었다. 하인은 그 잡초에 달린 열매를 따다가 아버지에게 보였다. 아버지는 그 열매를 끓여서 부지런히 복용하였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허리의 아픔이 없어지고 두 달쯤 뒤에는 밭일을 할 수 있을 만큼 몸이 튼튼해졌다. 그 후 하인은 주인 집에서 토끼 키우는 일을 그만두고 그 약초의 열매를 따서 요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 소문이 점점 퍼져 많은 사람들이 그 약초의 씨앗을 구해 먹고 허리 아픈 것이 낫게 되었다. 그러나 아무도 그 약초의 이름을 몰랐다. 이름이 없었던 것이다. 그들은 한참을 생각하다가 토끼 허리를 고쳤다고 해서 토끼 토(兎)자와 그 풀이 실처럼 엉켜 있다 하여 실 사(絲)자와 씨앗 자(子)자를 합쳐 ‘토사자’라 이름 지었다. 토사자는 우리말로 새삼 씨라고 부른다. 칡덩굴이나 콩밭에 많이 기생하는 식물로 잎이 없고 누런색이나 누런 밤색의 덩굴이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가며 자란다. 여름철에 줄기에서 희누른 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열매는 들깨만하고 빛깔은 갈색이다. 열매는 보약으로 귀하게 쓴다. 새삼 씨는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주로 간과 신장에 들어가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 밝게 한다. 새삼 씨에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니켈, 라듐, 철, 아연, 망간, 구리 등 광물질과 당분, 알칼로이드, 기름, 비타민 B1, B2 등이 들어 있다. 새삼 씨는 양기를 돕고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약재이다. 신장이 허약하여 생긴 음위증, 유정, 몽설 등에 효과가 좋다. 또 뼈를 튼튼하게 하고 허리 힘을 세게 하며 신장 기능이 허약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 오줌소태와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것, 설사를 낫게 한다. 간을 보하여 눈을 밝게 하고 태아를 보호하는 작용도 있다. 새삼 덩굴과 씨는 당뇨병 치료에도 좋다. 새삼열매 새삼 덩굴을 즙을 내어 한잔씩 마시거나 씨앗을 달여 차처럼 자주 마시면 당뇨병에 효험이 있다. 또 밤눈이 어두울 때는 새삼 씨 120그램을 술에 3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달걀 흰자 위에 개어 알약을 만들어 빈 속에 따뜻한 술과 함께 먹으면 매우 좋다. 심신이 쇠약하여 정액이 저절로 새어 나오거나 허리와 무릎이 아프고 힘이 없을 때에는 새삼 씨 40그램과 쇠무릎지기 80그램을 한데 넣고 달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과민성 장염에는 삽주 뿌리, 오미자 등을 섞어 가루 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좋고, 오줌소태에는 새삼 씨와 용골, 모려분, 감국, 구기자, 황백, 두충 등을 각각 같은 양으로 달여서 마신다. 새삼 씨를 술에 담가서 먹으면 효능이 더 좋다. 가을철에 새삼 씨를 따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2~3일 말렸다가 항아리에 넣고 새삼 씨 분량의 2~3배쯤 되는 술을 붓고 뚜껑을 잘 덮은 다음 어둡고 서늘한 곳에 두었다가 3~4개월 뒤에 조금씩 마신다. 새삼 술을 마시면 피로가 없어지고 양기가 좋아진다. 또 짝사랑으로 괴로워하다가 신경쇠약이 되어 헛것이 보이는 데, 자위행위를 지나치게 해서 몸이 약해지고 정액이 새어나오는 데에도 효험이 크다. 오래 먹으면 몸이 따뜻하고 여성의 냉증이 없어진다. 얼굴에 여드름이 많을 때 새삼 술로 세수를 하면 얼굴이 깨끗해진다. 글/최진규의 토종약초장수법에서 발췌 토사자의 효능 새삼의 효능...토사자복용법 먹는 방법 토사자란 토사자 토사자 토사자의 효능 효과
8∼9월에 흰색의 꽃
'자연산약초직거래장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산 장생도라지 50년-자연산 장생도라지의 효능 복용법 말기암완치사례-산도라지- (0) | 2013.02.04 |
---|---|
말굽버섯 효능 -영지버섯 상황버섯 베타클루칸 항암작용 다량함유- (0) | 2013.02.03 |
장생도라지 50년-100년 효능 복용법 말기암완치사례 *천종산삼 보다 훨씬 효과적* (0) | 2012.12.22 |
상황버섯 효능 효과 복용법[자연산 국산상황버섯 ]뽕상황버섯&황철상황버섯 (0) | 2012.12.08 |
장생도라지 지치 *장생도라지 지치 효능 복용법 *말기암치료사례* (0) | 201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