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비툭스(Cetuximab/Erbitux) 부작용 주의사항-심각한 항암제부작용 효능-세툭시맙-
처방병기
1. EGFR-양성, KRAS 정상형(wild-type)인 전이성 직결장암 환자에의
◆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 Irinotecan에 내약성이 없으며,Oxaliplatin 과 Irinotecan을 포함한 요법에 실패한 환자의 단독요법
2.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의
◆ 국소 진행성 질환에 방사선요법과의 병용요법
◆ 재발성 및/또는 전이성 질환에 platinum계 약물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분류번호 : 421, 항악성종양제> [허가사항 변경지시(안전성 정보처리) (의약품관리총괄과-5418호, 2013. 9. 13.)]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중증도(3,4도)의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
2) 병용치료 시작 전, 병용되는 화학요법제에 또는 방사선 요법이 금기인 환자
2. 경고 및 일반적 주의
1) 주입관련반응
환자에게 경증 또는 중등증의 주입관련반응이 나타날 때, 주입속도를 감속시켜야 한다. 이후의 모든 주입시 감속한 주입속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중증의 주입관련반응이 보고되었다. 증상은 주로 첫번째 주입시작에서 투여가 끝난 후 1시간 이내에 발생했지만, 수시간 이후 또는 이후의 투여에서 발생하기도 하였다. 환자에게 주입관련반응이 나중에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중증의 주입관련반응이 일어나면 즉시 그리고 영구적으로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응급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
신체 활동능이 감소된 환자와 이전에 심폐질환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특별한 주의가 권장된다.
2) 호흡곤란
이 약과 약물 연관성에 대해서 알려지지 않은 간질성 폐장애의 예가 보고된 바 있다. 간질성 폐장애로 진단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피부 반응
환자에게서 중증도의 피부반응(3도 이상 NCI-CTC)이 발현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반응이 2도 수준으로 조절되는 경우 치료를 재개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중증의 피부반응이 나타나면 용량조절이 없이 치료를 재개할 수 있다. 중증의 부작용이 두번째 또는 세번째 발현시 이 약의 치료를 다시 중지해야 한다. 그리고 반응이 2도 수준으로 조절되면 저용량으로 (각각 두번째 발현 후 체표면적 기준 200 mg/m2, 3번째 발현 후 150 mg/m2로) 다시 투여할 수 있다. 만약 중증의 피부반응이 네번째 나타나거나, 투여를 중지한 후에도 2도 수준으로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를 완전히 중지해야 한다.
4) 전해질 이상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종종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중증의 저마그네슘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저마그네슘혈증은 가역적이어서 세툭시맙 투여를 중단하면 회복된다. 추가로 설사로 인한 저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저칼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platinum계 약물을 기본으로 하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에서 중증의 저칼슘혈증의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세툭시맙 치료 전 또는 주기적으로 치료하는 동안 혈청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적절한 전해질 보충이 권장된다.
5) 호중구감소증 및 관련된 감염성 합병증
Platinum계 약물을 기본으로 하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발열성 호중구감소증, 폐렴 또는 패혈증과 같은 감염성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중증의 호중구감소증 발현의 위험이 증가된다. 특히 감염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는 피부손상, 점막염 또는 설사가 있는 환자에게 주의깊은 관찰이 권장된다.
6) 간,신장애
지금까지 이 약은 간, 신장기능이 정상인 환자들에게만 사용되었다. (혈청내 크레아티닌 수치와/또는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인 범위 최고치 보다 1.5배 이하, 트랜스아미나제 수치가 5배 이하인 경우)
7) 혈액학적 장애 : 이 약은 다음 경우의 환자에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헤모글로빈 < 9g/dL
백혈구 수 < 3,000/mm3
호중구 수 < 1,500/mm3
혈소판 수 < 100,000/mm3
8) 이 약의 안전성과 효능은 소아의 경우 확립되지 않았다.
9)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이 약의 병용요법은 사용경험이 제한적이다.
10) 중대하거나 때때로 치명적인 심혈관계 이상반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치료에 따른 사망이 비소세포성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 및 직결장암 치료중에 관찰되었다. 일부 연구 (비소세포성폐암)에서는 65세이상 연령과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세툭시맙 투여시에는, 환자의 심혈관계 상태에 주의하고, 플루오로피리미딘 같은 심장독성 물질과의 병용에 주의한다.
3. 이상반응
이 약의 주요한 이상반응은 80%이상의 환자에서 발생한 피부반응, 10%이상의 환자에서 발생한 저마그네슘혈증, 10%이상의 환자에서 경증에서 중등증으로, 1%이상의 환자에서 중증으로 나타난 주입관련 반응이다.
이후에 사용된 빈도수에 대한 용어에 다음의 정의가 적용된다.
매우 흔함 (Very common) (≥1/10)
흔함 (common) (≥ 1/100, < 1/10)
흔하지 않음 (uncommon) (≥1/1000, < 1/100)
드뭄 (rare) (≥1/10,000, < 1/1000)
매우 드뭄 (very rare) (< 1/10,000)
빈도를 알 수 없음 (Frequency not known, 가능한 자료에서 평가할 수 없는)
1) 신경계 이상
흔함 : 두통
빈도를 알 수 없음 : 무균성 수막염
2) 안질환
흔함 : 결막염
흔하지 않음 : 안검염, 각막염
3) 호흡기계, 인후, 종격(가슴막) 부위 이상
흔하지 않음 : 폐색전증
4) 소화기계 이상
흔함 : 설사, 메스꺼움, 구토
5) 피부 및 피하조직 이상
매우 흔함 : 피부반응
빈도를 알 수 없음 : 피부병변의 중복 감염
6) 대사계 및 영양계 이상
매우 흔함 : 저마그네슘혈증
흔함 : 설사 또는 점막염의 이차증상으로서의 탈수, 저칼슘혈증, 체중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식욕부진
7) 혈관계이상
흔하지 않음 : 중증 정맥 혈전증
8) 일반적인 이상과 주사부위 반응
매우 흔함 : 경증 또는 중등증의 주입 관련 반응, 경증 또는 중등증의 비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점막염
흔함 : 중증의 주입 관련 반응, 피로
9) 간 담도계 이상
매우 흔함 : 간 효소(ASAT, ALAT, AP)수치의 상승
10) 추가정보
①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른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② 주입 관련 반응
주로 이 약을 첫번째 투여할 때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열, 오한, 어지러움 또는 호흡곤란 같은 증상으로 구성된 경증 및 중등증의 투여와 관련된 반응이 매우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
중증의 주입관련반응이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증상은 보통 이 약을 최초로 투여하는 동안 또는 투여 1시간 이내에 나타나지만, 수 시간 이후 또는 이후의 투여에서 발생 할 수도 있다. 근원적인 작용기전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반응은 사실상 아나필락시스/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일 수 있다. 기관지 연축, 두드러기, 혈압의 상승 또는 저하, 의식불명, 쇼크와 같은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드문 경우에, 협심증, 심근경색 또는 심장마비가 관찰된 바 있다.
③ 피부 반응
피부반응은 80% 이상의 환자에서 발현할 수 있으며, 주로 여드름성 발진, 그리고 덜 빈번하게 가려움증, 피부 건조감, 박리, 다모증, 손발톱 이상(조갑주위염)이 나타난다. 피부반응 중 약 15%에서는 피부괴사 1례를 포함한 중증이었다. 대다수 피부반응은 치료 첫 3주 내에 발현한다. 이런 반응은 권장되는 용량조절을 준수하여 당분간의 치료를 중단하면 후유증 없이 치유될 수 있다. NCI-CTC에 따르면, 2도 피부반응은 체표면적의 50% 미만에서 발진이 발현되었을 때, 3도 피부반응은 체표면적의 50% 이상에서 발진이 발현되었을 때로 규정한다.
환자가 이 약에 의해 유도된 피부병변으로 중복감염에 걸릴 수 있다(예, 포도상구균(S. aureus)과의 중복감염). 이는 연조직염, 얕은 연조직염 또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결과, 포도상구균 열상 피부증후군, 또는 패혈증 같은 부차적인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④ 병용요법
-이 약을 화학요법제와 병용 투여시, 화학요법제 각각의 약물 정보를 참조하도록 한다.
-두경부 부위에 대한 국소 방사선 요법과 병용시의 추가적인 부작용은 전형적인 방사선 요법의 부작용이다(구내염, 방사선 피부염, 연하곤란 또는 주로 림프구 감소증으로 나타나는 백혈구 감소증). 4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약과 방사선 요법을 병용 투여하는 환자에게서 방사선 요법과 관련된 늦게 나타나는 반응과 중증도의 급성 방사선 피부염 그리고 구내염의 보고사례가 단독 방사선 요법을 치료한 환자보다 약간 높았다.
11) 국내 부작용 보고자료의 분석·평가에 따라 다음의 이상반응을 추가한다.
⦁ 소화기계: 복통, 낭성장기종
4. 약물상호작용
Platinum계 약물을 기본으로 하는 화학요법과의 병용투여시, 중증의 백혈구소증 또는 중증의 호중구감소증의 빈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platinum계 약물을 기본으로 하는 단독 화학요법과 비교하여 발열성 호중구감소증, 폐렴, 패혈증과 같은 감염성 합병증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 약을 주입용 플루오로피리미딘과 병용 투여시, 주입용 플루오로피리미딘 단독 투여시보다 수족증후군의 빈도 뿐만 아니라 심근경색과 울혈성 심부전을 포함한 심허혈의 빈도가 증가되었다.
약물상호작용 연구에서 이리노테칸을 단회 병용투여한 경우(350mg/㎡ 체표면적 기준),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이 변화하지 않았다. 그 반대의 경우에도 세툭시맙이 이리노테칸의 약동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외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이 약과의 약물상호작용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5. 임부, 수유부
종양세포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태아성장에 관여한다. 동물실험에서 이 약의 태반이행을 나타내는 제한적 관찰이 있었고, 다른 IgG1 항체가 이 태반세포를 통과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동물실험에서 최기형성에 대한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용량 의존적으로 유산 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임부, 수유부에 대한 충분한 자료는 없다.
임신 중인 여성 또는 적절한 피임을 하지 않은 여성에게는 잠재적인 이익이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정당화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이 약을 투약하도록 권장된다. 이 약은 유즙을 통해 배출되는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이 약 치료기간 동안 그리고 마지막 투여 이후 적어도 2개월간 수유는 중지해야 한다.
6. 과량투여
현재까지 단 회 투여시 세툭시맙 1회 용량으로 400mg/m2이상 투여하거나 매주 250mg/m2 이상 투여한 경험은 제한적이다. 매 2주마다 700mg/m2까지 용량으로 시험한 임상시험에서 안전성 프로파일은 이상반응 항에 기술된 내용과 일치하였다.
7. 기계조작능력에 대한 영향
기계조작능력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환자가 투약과 관련해 집중력이나 반응력에 이상징후가 나타나면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 기계작동을 피하도록 한다.
8. 기타
1) 이 약물은 허가사항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약물과 혼합되어서는 안된다.
2) 이 약 투여시 반드시 별도의 주입관을 사용해야 한다.
9. 적용,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
1) 제시된 유효기간을 지나서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2) 허가사항에 따라 조제되었을 경우 세툭시맙 2mg/mL는 사용 중 25℃에서 20시간, 세툭시맙 5mg/mL는 25℃에서 48시간 동안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입증되었다.
3) 이 약은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조제 방법이 미생물오염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면 바이알 개봉후 빠른 사용이 권장된다. 만일 바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중과 사용 전의 보관기간 및 조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책임이 있으며, 통제되고 검증된 무균조건에서 개봉하지 않은경우 일반적으로 2-8℃에서 24시간 이상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4) 세툭시맙 2mg/mL는 유백색 미립자를 포함하는 무색용액이다. 그러므로 투여시 0.2~0.22μm크기의 필터로 여과해야 한다. 이 약은 주입펌프나 주사기 펌프, 중력을 이용한 주입장치로 투여할 수 있고, 투여시 별도의 주입관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주입관은 마지막 투여시 멸균생리식염주사액(9mg/mL, 0.9 %)으로 씻어내야만 한다.
5) 이 약은 다음 기구들을 이용하여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세툭시맙 2mg/mL에 적합한 기구: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초산에틸비닐(ethyl vinyl acetate), 또는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주입백,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초산에틸비닐(ethyl vinyl acetate),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주입셋트.
-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폴리설폰(polysulfone) 여과기,
세툭시맙 5mg/mL에 적합한 기구: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초산에틸비닐(ethyl vinyl acetate), 또는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주입백,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초산에틸비닐(ethyl vinyl acetate), 폴리올레핀 써모플라스틱(polyolefine thermoplastic) 또는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주입셋트,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주사기펌프용 주사기.
6) 이 약의 조제시 무균 조작이 확보되도록 주의한다.
세툭시맙 2mg/mL은 다음과 같이 준비되어야 한다.
중력을 이용한 점적 주입장치 또는 주입펌프로 주입관내 여과하는 방법 (희석하지 않음): 적절한 멸균주사기(최소 50mL)에 주사바늘을 끼우고, 필요한 양의 세툭시맙을 바이알에서 취한다. 세툭시맙을 멸균된 빈 용기나, 백에 옮긴다. 계산된 용량의 약물이 용기에 주입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그 다음에 여과기를 약물 주입관에 삽입하고, 주입을 시작하기 전에 주입관에 세툭시맙 또는 멸균생리식염주사액(9mg/mL, 0.9 %)을 채운다. 투여를 위해 주입펌프나 중력을 이용한 점적 주입장치를 사용한다.
주입속도를 설정하고 속도를 조절한다.
주사기 펌프로 주입관 내에 여과하는 방법 : 적절한 멸균주사기(최소 50mL)를 선택하고 적절한 주사바늘을 끼운다. 바이알에서 필요한 양의 세툭시맙을 취한다. 주사바늘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주사기 펌프에 장착시킨다. 여과기를 준비된 장치에 연결한다. 주입관을 주사기에 연결하고 투여속도를 조절한 후 주입관에 이 약 또는 멸균생리식염주사액(9mg/mL, 0.9 %)을 충진시키고 약물 주입을 시작한다. 계산된 양이 주입될 때 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세툭시맙 5mg/mL는 다음과 같이 준비되어야 한다.
중력을 이용한 점적 주입장치 또는 주입펌프로 투여하는 방법(멸균생리식염주사액 9mg/mL(0.9%)로 희석) : 적절한 크기의 멸균생리식염주사액 9mg/mL(0.9%)의 주입백을 취한다. 세툭시맙의 필요량을 계산한다. 주입백에서 적절한 양의 생리식염주사액을 적합한 바늘과 멸균 주사기를 사용하여 빼낸다. 적절한 멸균주사기를 취하여 적합한 바늘을 끼워, 세툭시맙의 필요량을 바이알에서 취한다. 세툭시맙을 주입백에 주입한다. 계산된 양이 주입될 때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주입관을 연결하고 주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세툭시맙 희석액을 준비한다. 투여를 위해 주입펌프나 중력을 이용한 점적 주입장치를 사용한다. 주입속도를 설정하고 속도를 조절한다.
중력을 이용한 점적 주입장치 또는 주입펌프로 투여하는 방법(희석하지 않음): 세툭시맙 필요량을 계산한다. 적절한 멸균주사기(최소 50mL)에 주사바늘을 끼우고, 필요한 양의 세툭시맙을 바이알에서 취한다. 세툭시맙을 멸균된 빈 용기나, 백에 옮긴다. 계산된 용량의 약물이 용기에 주입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주입관을 연결하고 주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세툭시맙을 준비한다. 주입속도를 설정하고 속도를 조절한다.
주사기 펌프로 투여하는 방법 : 세툭시맙 필요량을 계산한다. 적절한 멸균주사기를 선택하고 적절한 주사바늘을 끼운다. 바이알에서 필요한 양의 세툭시맙을 취한다. 주사바늘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주사기 펌프에 장착시킨다. 주입관을 주사기에 연결하고 투여속도를 조절한 후 주입관에 이 약 또는 멸균생리식염주사액(9mg/mL, 0.9 %)을 충진시키고 약물 주입을 시작한다. 계산된 양이 주입될 때 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7) 세툭시맙 2mg/mL의 투여시 때때로 여과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투여속도가 명확하게 감소하는 여과장해가 나타나면 필터를 교환해야 한다.
-------------
모든 항암제는 맹독성 석유화학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발암성이 아주 높습니다. 따라서 항암치료를 결정할 경우 먼저 항암제의 독성 주의사항등을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거의 모든 항암제는 암환자의 생존율을 늘려 주거나 암을 고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며 단지 일시적인 종양축소 작용만 나타나는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처방을 받을지 말지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합니다..
*******************
참고사항
지금까지 만들어진 항암제 중에 암을 고친 사례가 있는 항암제는 단 한개도 임상학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다. 즉 항암치료로 암을 고친 경우도 항암제가 만들어진 이래 단 한건도 없었다는 점이다. 그런점에서 항암치료로 암을 고치겠다고 것은 어리석은 생각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항암제는 왜 암환자에게 사용되어 지는 것인가?..제약회사가 주장하는 것은 약간의 생명연장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효과라는 것은 생존율이 늘어 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것도 아니며 단지 그럴 것이란 추측하에 판매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약사가 주장하는 아주 약간의 생명연장 효과라는 것은 사실 플라시보[위약]효과만으로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것이며..오히려 플라시보[위약] 효과의 경우 아무런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맹독성 항암제의 효과보다 훨씬 다 강력하고 뛰어난 효과라고 볼 수있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항암치료를 하거나 하지 않거나 별 반 생존율에 차이가 없을 뿐더러 끔찍한 고통속에서 죽어가는 비참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는 다는 차원에서 일체의 항암치료를 받지 않는 것이 더 삶의 질적인 면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소몬하치오치병원의 원장인 마가라 준이치[암전문의사]씨는 자신의 병원에 입원한 암환자들을대상으로 항암치료와 수술치료,방사선 치료 그리고 아무 치료도 받지 않고 자연요법치료를 받은 4부류의 암환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를 발표 하였다. 이 4부류의 치료법으로 몇백명의 암환자들을 치료해 본 결과 가장 치료효과가 나쁜 그룹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암환자들이였으며, 다음이 항암치료, 그 다음이 수술치료, 그리고 가장 치료 효과가 좋은 암환자들은 아무것도 치료하지 않고 자연치료를 받은 사람들이였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일부분이기기는 하지만 대체의학이나 자연식이요법치료도 건강보험이 적용된디고 한다.그런 이유로 소몬하치오치병원에서는 항암치료와 방사선 수술 그리고 자연치료법으로 암을 치료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치료효과를 검증 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소몬하치오치 병원의 원장인 암전문의 마가라준이치씨는 이런 말로 결론을 내리며 암환자들에게 간곡하게 호소 하였다. " 암은 아무 치료도 받지 않는 것이 가장 낫기가 쉽다. 이 사실을 이해 하는 사람이 늘어 나기를 나는 진심으로 바라고 있다". 라고 말이다. 실제로 임상실험과 검증을 한 암전문의사이자 병원장인 사람이 병원의 수익에 반할 수 있는 말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양심을 속이는 것을 스스로 용납 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환자의 건강보다는 재물에 눈이 멀어 집단 이기주의로 뇌물수수와 집단파업을 일삼는 잘못된 교육의 희생자들인 우리나라 의료진들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나라에서도 양심선언을 하는 암전문의사를 살아 생전 만나 볼 수 있으려나...
*유방암수술하면 암이 전신으로 퍼져나가는 이유 밝혀지다*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 워렌 콜박사 발표-
1950년대에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의 워렌 콜 박사는 수많은 임상실험결과와 조사를 바탕으로
" 암수술을 시행 한 후 , 환자의 말초신경 부분의 혈액을 검사함으로써 수술이 원인이 되어 암세포가
전신으로 퍼져 나간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내었다"
그런데 이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의학상식 마져 거부하고 반대하는 의사들은
" 비록 암세포가 암수술로 인하여 다른 곳으로 전이는 할 수 있으나 아직 침범 당하지
않은 부분은 암환자가 스스로 암세포를 억제 할 수 있다"라는 반론을 펼쳤다..
하지만 이것은 너무도 어리석은 반론이다. 만일 암환자가 암세포의 전이를 스스로 억제할 수 있다면,
그는 처음부터 암에 걸리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암의 전이를 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오염되어 있는 것이 암환자의 상태이므로 암수술이 암을
전신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느 것은 당연한 이치라고 할 것이다.
*" 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참조 서적 -105페이지 -문예출판사-로버트 S 멘델존 의학박사
[미국 시카고 마이클 리세 병원장 소아과의사]*
이런 잘못된 의학상식이 현대의학 상식으로 정착하면서 현대의학으로는 암치료법은 암을 고칠 수
없으며 오히려 '암을 발생 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제약회사와 의사들의 자본주의와 이기주의 때문에 진실의학이 감춰지고 거짓의학이
자리잡아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몰아 가는 것은 아닐까?..
항암치료받은 환자 암재발율 두세배 높다[일본오사카대학 연구팀 발표]
[일본 오사카 대학 연구팀 발표]
“항암제 사용자의 발암 율이 비 사용자 보다 2배 높으며 2종 이상 혼합 사용 시 위험성이 급증한다.”
항암제의 높은 위험성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지적되고 있지만 실제로 입증된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최근 일본에서는 항암제를 사용 함으로서 오히려 다른 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위암 수술 후에 항암제를 투여 받은 환자는 투여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추후 다른 종류의 암에 걸릴 확률이 2배 가까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일본 오사카 대학 의학부의 “후지모토” 교수 연구팀이 최근 요코하마에서 열린 소화기 학회에서 발표 함으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가지 항암제가 막연히 위험하다는 정도로만 여겨져 왔는데 위험성의 정도가 임상적으로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항암제 대량요법에 대한 경종을 올리고 있다. 조사는 오사카 대학 부속병원 제2외과에서 지난 63년부터 81년까지 위암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근치도가 높은 환자 84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333명은 수술전이나 후에 항암제를 투여하는 보조요법을 실시했으며 511명은 항암제 투여가 없었다.
후지모토 교수는 항암제에 의한 2차 발암위험성을 알아내기 위해 수술 후 5년 이상 경과된 환자 중 위암 외의 암이 발생한 비율을 조사했다. 5년 이내에 암이 나타났거나 5년이 지났더라도 위암이 일어난 경우는 재발일 가능성이 높아 제외시켰다.
결과적으로 5년 이상 경과한 후 간암이나 폐암, 백혈병 등 2차적인 암이 발견된 비율은 항암제 보조요법을 실시한 경우가 6.3% 로 항암제 사용이 없었던 경우의 3,3%에 비해 거의 2배나 되었다. 특히 2종 이상의 항암제를 병용한 경우에는 발암의 위험성이 8%까지 상승됨이 입증되었다.
항암제를 수술 전에 사용하거나 후에 사용 한 경우에서는 발암 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후지모토 교수는 [항암제의 투여로 발암위험성이 높아짐이 증명됐다. 특히 단독으로는 발암성이 낮은 약제라 해도 병용할 때는 위험성이 크게 증가된다]. 고 강조했다.
항암치료가 암을 빠르고 크게 자라게 만든다[케모테라피 항암치료부작용]
깜짝 놀랄 뉴스 : 암치료제가 종양을 더 공격적이고 심각하게 만든다
Breaking news: cancer drugs make tumors more aggressive and deadly By S. L. Baker Jan 19, 2012 - 5:38:25 PM
이 이야기는 자연건강보호주의의 입장을 견지한 의료인들이 의학계 주류인사와 제약사들이 사용하는 암치료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의 결과들이다. 요점은 주류 의학계 암치료제인 케모테라피 (화학요법)와 방사선 치료를 암환자에게 적용하면 엉뚱하게도 이 치료법이 환자의 몸을 약화시키고 손상을 준다는 것이다. 그것도 암이 급하게 발병하는 현상을 포함해 여러모로 말이다. 아래 기사는 과학진이 기존의 암치료법의 문제가 어디서 발생했는지를 밝혀낸 내용이다. 문제의 시발점은 화학요법은 종양을 일시적으로 죽이기도 하고 위축시킬 수있으나, 정작 그 방법은 악영향을 끼쳐서 장기적으로 더 심각한 상태로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내춰럴뉴스는 이렇게 보고한다. http://www.naturalnews.com/029042_cancer_cells_chemotherapy.html 알라바마 대학 버밍검 캠퍼스의 통합 암센터 과학자들은 화학요법이 가해진 후에 암세포가 죽은 것이 남아있게 되며 그것이 몸의 다른 장기로 번지는 전이현상 (metastasis)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아직 제대로 규명되지않은 주피세포 (페리사이트)의 존재유무로 발견되는데 이는 악성종양 자체의 마이크로 수준의 조건에서는 암의 진행을 멈추게 된다. 그런데 이 주피세포가 파괴된 경우에는 어떤 항암치료를 가했을 때 뜻하지 않게 암세포를 더 공격적으로 만들기에 다른 곳에 번지는 것이고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암세포 저널의 1월17일자 연구보고서는 결론으로 보고하기를 신생혈관생성 억제요법anti-angiogenic therapies 이 인체의 면역력을 죽일 수있는데 그 이유는 요법이 암세포의 진전을 막아주는 주피세포를 파괴하기에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 주피 세포는 암세포에 대항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혈관을 보호하고 생장을 돕는 것이다. 이스라엘 디콘의료센터의 매트릭스 생물학과장이며 하바드의대 교수인 라그 칼루리 박사는 새로운 연구에서 주피세포를 목표물로 해서 양성종양의 생장을 막을 수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는 신생혈관 생성억제요법으로 암치료제를 적용한 것과 동일한 방식이었다. 이 방법은 실험대상 동물에 대하여 적용했을 때 대략 30퍼센트의 악성 종양의 사이즈를 줄여준 것이었다. 이는 25여일이 걸렸다. 그러나 이 결과에는 심각한 문제가 따라왔다. 그 문제란 주류의학계의 상식에 반하여 이들 과학진은 2차적 폐 양성종양세포가 실험용 쥐에 대하여 3배나 증가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양성종양이 전이?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암치료제는 어떻게 암세포를 전이시키는가 (이하 번역생략) |